학생독립운동

개요

  • 학생독립운동
  • 개요

대한민국독립만세를 외치며 거리를 행진하는 학생들

학생독립운동사진1

광주에서 일어나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던 '학생독립운동'은 일본제국주의의 지배에 저항하여 일어났던 대표적인 민족운동 가운데 하나였으며, 그 규모나 영향 그리고 역사적 의의에서 3·1운동과 나란히 하는 사건이었다.

또한 학생독립운동은 단순히 광주와 나주를 통학하던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의 충돌 때문에 우발적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라 3·1운동 이후의 기만적인 소위 문화정책과 1929년부터 시작되는 세계대공황, 1920년대 이후 노동·농민·학생운동의 성장 등 국내외의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일어난 것이었다.

1929년 11월 3일은 명치(明治)천화의 탄생기념일인 명치절이었으나, 우리에게는 음력 10월 3일 국조 단국이 개국하신 날이 었다. 개천절에 일제의 신사에 참배를 강요당했던 광주고보생들의 비통한 심경에 가해졌던 일본 학생들의 무례한 도전이 학생독립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학생독립운동은 광주에서의 항일시위에서 시작되었으나 그 지역에 그치지않고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시위나 동맹 휴학으로 계속되어 전국적으로 212개 학교가 참가하였고 참가 학생수는 54,000여 명으로 당시 전체 학생의 절반이 넘는 학생들이 나라와 민족의 독립을 위해 자신들을 희생했던 것이다.

광주중(일인학교) 검도, 유도부 학생들이 광주고보생을 흉기로 폭행 - 광주역에서...

학생독립운동사진2

학생독립운동으로 희생당한 학생 수는
퇴학 582명, 무기정학 2,330명, 검거당한 사람이 1,462명이나 되는 엄청난 숫자였다.

또한 학생독립운동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까지 파급되어 만주의 간도와 길림성, 중국의 상해, 북경, 그리고 일본에서 학생독 립운동을 격려하는 집회와 만세시위가 있었다. 학생독립운동은 학생들의 항일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신간회·근우회·조 선청년동맹 등 당시의 주요 사회단체와 성진회·독서회 중앙본부·조선학생전위동맹 등 비밀결사의 지원도 적지 않았다.

더구나, 일제의 강력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그 정신은 끊임없이 이어져 1943년 5월 광주고보 동맹휴학을 계기로 제2차 학생 독립운동이 발발하였다.

이렇듯 정의감과 애국심이 강렬했던 학생들은 일제의 식민통치하에서 분연히 떨쳐 일어나 국가와 민족의 독립을 쟁취하려 했고 민족적 차별을 철폐하기 위해 학생독립운동을 전개하여 자랑스러운 선배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  
  •  
  •  
  •